가사 소송

가사 소송 가정의 분쟁 기타의 가정사건을 특별한 국가기관인 가정법원에서 직권주의와 비밀주의를 원리로 하는 특별한 절차에 의하여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송절차이다.
가사사건은 사회의 구성단위인 가정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가 후견적 작용을 영위할 필요가 있다.

가사 소송사건의 종류와 성질 가사소송법은 가사사건을 가사소송사건과 가사비송사건으로 분류하고, 소송사건은 다시 가류사건 7개와 나류사건 12개, 다류사건 3개로, 비송사건은 라류사건 44개와 마류사건 10개로 분류하고 있고, 그 중 나류, 다류, 마류사건은 가사조정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상간자 소송

상간녀/상간남 소송

정식 명칭은 위자료청구소송, 또는 손해배상소송으로 부정해위로 한 가정의 혼인 관계를 파탄에 이르게 한 상대방에게 이로 인한 정신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소송입니다.
(위자료청구소송은 배우자와 부정행위를 한 상대 여성은 물론 상대 남성에게도 모두 가능하며 이를 상간자소송,상간남·녀소송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간녀/상간남 피고

위자료청구소송 소장을 받았을 때 억울하게 분륜의 당사자로 몰려 마음고생을 하는 분들을 대리해드립니다.
누적된 성공사례를 통해 상간녀소송/상간남소송 피소의 의미와 대응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든 혼외 관계가 배상의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대방이 1. 자신의 결혼 사실을 숨기거나, 2. 이미 이혼하였다고 의뢰인을 기망하여, 아무것도 모른 채 남녀관계를 유지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다만, 상대방이 직접 언급하지 않더라도 1. 카카오톡 프로필 배경이 결혼사진이나, 2. 두 사람이 직장 동료로서 결혼 사실을 알 수 있는 충분한 사정이 있었다면 손해배상책임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성적자기결정권침해(유부남 사기)

남성 또는 여성이 결혼한 유부남, 유부녀임에도 불구하고 결혼 사실을 숨기고 연인으로 행세하며 교제하였다면 성적자기결정권을 침해한 불법행위로 정신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양육비 소송

과거양육비청구

부모의 권리이자 의무인 양육을 부모 중 일방이 양육을 하지 않는 경우, 자녀들을 양육한 부·모가 배우자를 상대로 과거양육비 지급을 청구하는 소송입니다.

양육비변경청구

양육비의 변경

-양육비에 관한 사항을 정한 후 사정이 변경된 경우에는 당사자가 합의해서 양육비를 변경할 수 있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법원에 심판을 청구해서 양육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 민법 」 제 837 조제 5 항 및 「 가사소송법 」 제 2 조제 1 항제 2 호나목 3)]
-양육비 증액 청구
-양육비 감액 청구

양육비 안줄 때 대처

전 배우자가 자녀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양육비 지급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제도와 담보제공 명령 및 일시금지급명령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재심청구

낙태죄재심청구

2012년 8월 24일 이후 낙태 유죄 판결을 받은 인원이 그 대상입니다.

낙태죄 판결을 2012년 8월 24일 이후에 받았다면 지금이라도 낙태죄 재심 청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 낙태일이 2010년 2월이고, 낙태죄 소송이 진행되어 2012년 11월 유죄판결을 받은 분들도 모두 낙태죄의 재심 청구 대상이 됩니다.

간통죄재심청구

2008년 10월 31일 이후 간통죄 판결을 받은 분들이 그 대상입니다.간통 자체가 언제 일어났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간통죄 판결을 2008년 10월 31일 이후에 받았다면 지금이라도 간통재심을 통해 무죄판결이 가능합니다.

폭력, 스토킹

가정폭력

가정폭력이란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가정폭력범죄에는 사자명예훼손, 모욕, 강간, 강제추행, 준강간, 준강제추행, 미성년자간음, 추행, 폭행, 존속폭행, 협박, 존속협박, 명예훼손, 출판물 등에 의한 명예훼손, 공갈, 상해, 유기, 학대, 체포, 감금, 강요, 재물손괴 등이 있습니다.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제3호).

친자확인 소송

친자확인소송

친자확인 소송이란 ① 과거 잘못된 가족관계나, ② 등록되지 못한 가족관계를 바로잡기 위하여 법원에 제기하는 각종 법적 절차를 통칭합니다.

친자와 관련된 법적 절차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① 친생자관계 존재 확인의 소
② 친생관계 부존재 확인의 소
③ 친생부인의 소
④ 인지청구소송
⑤ 친생부인허가청구 또는 인지허가청구
실시간상담